본문 바로가기
사회 정보/환경 정보

기후 변화 그리고 지구 온난화 - 환경 문제의 핵심

by 너무 가능하다 2021. 11. 8.
반응형

지구 온난화, 이제 우리에게서 떼어놓을 수 없는 단어가 되어버렸습니다. 제가 어린 시절만 해도 딱히 이 단어를 자주 들을 일은 없었던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정말 세상이 바뀐 결과, 이젠 어린 아이들도 모두 아는 단어가 되어 버렸습니다. 이와 비슷하면서도 더 자주 쓰인 말로 기후 변화라는 말이 있습니다. 두 단어는 다른 단어이나 현재 환경문제로 인해 이제는 거의 동의어와 같이 사용되는 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 / 기후 변화 두 단어의 차이와 의미를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포스팅을 통해 각 각의 정의와 차이에 대해 이해하고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인식하실 수 있을 겁니다.

 

 

지구 온난화 – 기후 변화 무슨 차이지?

기후 변화

기후 변화 는 말 그대로 기후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기후는 온도와는 달리 국지적이고 지역적인 날씨가 아닌 더 광범위한 범위에 걸쳐 일반화된 기상상태를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기후 변화는 단지 계절적 요인이나 지역적 요인에 의한 일시적인 날씨 또는 기상 상태의 변화가 아니라 전 지구적으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기후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아래 그림을 보면 우리 지구의 지질 역사 동안 수 없이 많은 기후 변화가 있었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위 표를 통해 알 수 있는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 차례에 걸쳐 지구의 온도가 급격하게 변화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지구는 항시 같은 온도로 있었던 것이 아니라 뜨거운 적도 추웠던 적도 있었다는 겁니다. 그리고 궂이 따지자면 뜨거웠던 적이 오히려 더 많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지구가 생성되고 높았던 온도는 점점 낮아졌고 그 후, 수 차례의 빙하기와 간빙기가 존재했었습니다. 지구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빙하기라고 하는데 이는 온대 지역에 까지 빙하가 확대된 것을 말합니다.

- 여기서 집고 넘어갈 흥미로운 점은 전체 지구의 지질 역사를 볼 때, 지구의 최근 온도는 평균과 비교해 오히려 낮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현재 지구의 기온이 상승하는 것은 지구의 지질 역사상으로 관찰된 기후 변화의 범위에서 특별한 일은 아니다고 할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실제 이 논리는 현재 기후 변화는 단지 자연 순환설의 주요 논거로 이하 설명할 지구 온난화가 허구라는 주장까지 나오기도 했었습니다. 

 

지구 온난화

지구 온난화의 정의

지구 온난화는 기후 변화가 일방향을 향해 가고 있다는 방향성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즉, 기후 변화는 지구의 온도가 높아지기도 낮아지기도 한다는 것을 가정하나, 지구 온난화는 "지구의 온도가 높아진다"는 방향에 대해 문제점을 지적하는 의미가 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지구 온난화는 최초 주장된 이래 사실이 아니라는 반박과 함께 지구 온난화가 허구라는 주장을 아주 많이 맞닥뜨렸습니다. 대부분의 논거는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이는 단순히 자연순환의 일부일 뿐이다는 주장이었습니다. 하지만 온도 변화 관찰을 거쳐 지구의 온도가 정상적이지 않은 방향성과 트렌드로 높아지고 있다는 것은 사실로 밝혀졌습니다. 아직 남아있는 의문과 반대는 지구가 따뜻해지고 있다는 사실 자체 보다는 지구온난화의 원인과 영향, 예상되는 결과에 대한 과도한 비약, 무논리, 빈약한 근거 등이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사실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는 원인에 대해서는 과학적으로 모두 공통된 이해를 가지고 있습니다. 바로 온실 효과입니다. 지구가 받는 열 에너지는 태양입니다. 태양의 복사열은 지구에 흡수되거나 배출되게 되는데 이 흡수:배출 비율을 조절하는 것이 지구의 대기입니다. 이 온실 효과는 인류에게 있어 필수적입니다. 왜냐하면 온실효과가 적절하게 유지되지 않아 태양의 복사열이 들어오는 것보다 빠져나가는 것이 더 많게 되면, 지구의 온도는 점점 더 낮아져서 생물이 살 수 없는 환경이 될 것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현재 지구 온난화에서 문제되는 것은 그 반대, 과도한 온실가스입니다.

 

인위적으로 촉진되는 지구 온난화

지구의 온실 가스가 정상적인 범위의 변화를 벗어난 것이 지구 온난화 문제의 핵심입니다. 그리고 그 변화의 주 원인을 인간이 제공했다는 것이 최근 우리 행동의 변화를 촉구하는 이유입니다. 온실가스 배출의 가장 중요한 변곡점을 주로 19세기 산업혁명으로 봅니다. 이 시점을 기준으로 급속하게 진행된 산업화와 화석연료 사용, 자연환경의 파괴 (특히 삼림), 인구 증가와 그에 따른 생산량/소비량 증가 등은 연쇄적으로 지구 온난화를 촉진시키고 더 나아가 과열 시키고 있습니다.

큰 온도 변화가 없었던 17세기와 크게 대비되며 산업혁명은 지구 온난화의 시발점이 되었다

 

기후 변화 그리고 지구 온난화 - 우리의 생존을 위협하는 이 두 단어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비슷할 듯 하면서도 다르고 또 다른 듯 하면서도 혼용되더 사용되고 있는 이 두 단어. 제대로 이해하는 좋은 기회가 되셨길 바랍니다.

 

기후 변화와 지구 온난화 개념만 알것이 아니라 그래서 우리는 무엇을 해야하는지 궁금하시죠?

전 지구적으로 함께 대비하는 기후 변화 협약에 대해서도 함께 알아보시죠!

 

그리드형
LIST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