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도연 프로필
한국을 대표하는 최정상급 여배우. 지상파 연기대상, 청룡상, 대한민국 영화대상, 대종상에서 여우주연상, 백상예술대상 최우수상 등의 화려한 국내 수상 커리어는 물론 , 2007년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에 빛나는 국제적인 배우다.
이름: 전도연
생년월일: 1973년 2월 11일[빠른생일] (50세)
신체특징: 165cm, O형
가족:
배우자 강시규(2007년 3월 11일 결혼 - 현재)[4]
딸 강재영(2009년 1월 22일생)
학력: 서울북가좌국민학교 (졸업), 연희여중 (졸업), 창덕여고 (졸업), 서울예술전문대학 (방송연예과 / 전문학사 졸업)
데뷔: 1990년 CF 존슨앤드존슨 (데뷔일로부터 +12140일, 33주년)
별명: 칸의 여왕, 멜로 퀸, 눈물의 여왕, 영화나라 흥행공주
상훈: 옥관문화훈장 수훈 (2007년), 프랑스 문예공로훈장 수훈 (2009년)
전도연 성장과정과 데뷔
전도연은 집안의 막내로 태어났는데 오빠랑은 13살, 언니랑은 11살 나이 차이가 날 정도로 늦둥이였다. 어릴 땐 무척 평범하고 수줍음도 많은 아이였다. 어느정도 였냐면, 학교 국어시간에 친구들 앞에서 희곡을 읽는 것도 잘 못했을 정도였다고 한다.
이런 수줍은 성격으로 인해 아무도 배우가 될꺼란 생각을 하지 못했다. 하지만 고등학교 3학년 때 기회를 갖게 됐는데 바로 청소년 잡지의 엽서 응모에 당첨이 되어 상품을 찾으러 갔던 일이다. 그 잡지사에서 표지 모델을 권유 받았고 광고 모델로 데뷔를 하게 된다. 모델 활동을 하면서 조금씩 카메라 앞에 서는 일에 매력을 느끼게 됐지만 배우일을 하려고 결심한 것은 나중이었다.
진학을 고민할 때, 별 생각없이 서울예대 진학을 희망하던 친구를 따라 원서를 냈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배우를 지망했던 친구가 떨어진 대신 전도연이 붙었다.
전도연 대학 생활 - 유재석
참고로 당시 91학번 학과 동기가 유재석, 최승경 등 이었는데, 때문에 이들이 신인 시절 상을 받을 때 전도연이 응원하러가 카메라에 찍히기도 했다고 한다.
하지만 정작 연락은 끊긴지 십수년 됐다고 아쉬워하다, 2020년 백상예술대상 시상식때 오랜만에 만났는데 이때 유재석이 "도연아!오랜만이다!"라고 인사하자 "저도요." 라고 존댓말로 답해 유재석이 수상소감에서 "도연씨, 우리 말 놨었어요."라고 농담으로 이를 언급하자 전도연 본인이 생각해도 웃겼는지 관객석에서 빵 터진 모습이 잡히기도 했다.
이랬던 한마디로 3년여만에 둘은 유재석의 유퀴즈에서 만나게 된다.
전도연 배우 커리어
데뷔 초만 해도 깨끗하고 해맑지만 사이다처럼 톡톡 쏘는 이미지였지만 1997년의 접속의 대성공으로 스타의 반열에 올라 지속적으로 꾸준히 다양한 작품에 도전해왔다. 2000년대에 들어서부터는 연기력으로 본좌 배우로 꼽히며 작품만 찍으면 여우주연상 후보에는 당연히 오르는 수준의 배우가 되어버렸다.
연기력 절정으로 꼽히는 작품들인 〈밀양〉으로는 9개, 〈너는 내 운명〉으로는 7개, 〈무뢰한〉으로는 4개의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2007년 이창동 감독의 영화 〈밀양〉으로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이는 대한민국 최초이며 동아시아에서 두 번째인 기록이다. 또한 백상예술대상 영화부문 여자 최우수연기상을 최초로 4번이나 수상했다. 90년대 영화 〈약속〉, 2000년대 〈나도 아내가 있었으면 좋겠다〉, 2010년대 영화 〈무뢰한〉, 2020년대 영화 〈생일〉 각각 90년대, 00년대, 10년대, 20년대까지 4번의 시대에 모두 수상하는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한국갤럽 ‘올해의 영화배우’ 조사에서 2007년 1위를 했는데 이는 여배우가 1위를 한 최초이자 마지막이다. 갤럽 올해의 배우 부문 최고 점유율을 기록하기도 했고 2019년 한국 영화 100년을 맞아 100명의 영화 전문가가 꼽은 최고의 여배우 조사에서 1위를 하였다.
송혜교, 손예진, 공효진, 수애, 문근영, 김고은, 김민희, 신세경 등 많은 후배 배우들이 같이 연기하고 싶어하거나 롤 모델로 꼽는 건 말할 것도 없고, 많은 남자 배우들이 같이 연기하고 싶은 상대 배우로 꼽는다. 황정민은 〈너는 내 운명〉을 통해 상을 받고 그 유명한 밥상 수상 소감때, "도연아, 너와 같이 연기하는건 내게 기적과도 같은 일이었어"라는 표현한 적이 있다. 하정우는 "〈멋진 하루〉를 선택한 건, 전도연이라는 배우와 함께 공연 할 수 있다는 게 가장 컸어요"라고 말했고, 김남길도 전도연이 출연한다는 얘기를 듣고 바로 〈무뢰한〉을 선택했고, 공유도 전도연을 믿고 격정 멜로 〈남과 여〉를 선택했다고 한다. 2020년 정우성도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를 선택한 가장 중요한 이유는 전도연"이라고 언급했다.
나아가 전도연은 언어를 중요하게 생각해 해외 작품을 별도로 촬영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해외에서 인지도가 높다. 2007년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의 위상을 무시할 수 없는데 2007년 미국 연예잡지 ‘버라이어티’가 선정한 ‘가장 영향력있는 여성 50인(Women's Impact Report)’에 선정되기도 했다.
2014년 칸 영화제 경쟁부문 심사위원에 위촉됐다. 이는 대한민국 배우로서는 최초의 일이다.
전도연 영화 출연작품
제목 | 배역 | 활동 | |
1997년 | 접속 | 수현 | 주연 |
1998년 | 약속 | 채희주 | |
1999년 | 내 마음의 풍금 | 홍연 | |
해피 엔드 | 최보라 | ||
2001년 | 나도 아내가 있었으면 좋겠다 | 정원주 | |
2002년 | 피도 눈물도 없이 | 수진 | |
2003년 | 스캔들 - 조선남녀상열지사 | 숙부인 정씨 | |
2004년 | 인어공주 | 김나영 조연순 | |
2005년 | 너는 내 운명 | 전은하 | |
2007년 | 밀양 | 이신애 | |
2008년 | 멋진 하루 | 김희수 | |
2010년 | 하녀 | 은이 | |
2011년 | 카운트다운 | 차하연 | |
2013년 | 집으로 가는 길 | 송정연 | |
2015년 | 무뢰한 | 김혜경 | |
협녀, 칼의 기억 | 설랑 | ||
남과 여 | 이상민 | ||
2017년 | 전체관람가 - 보금자리 | 지수 | 단편영화 |
2019년 | 생일 | 순남 | 주연 |
백두산 | 리준평 아내 | 특별출연 | |
2020년 |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은 짐승들 | 최연희 | 주연 |
2021년 | 인질 | 전도연 | 자료화면 |
2022년 | 심장소리[30] | 철이 엄마 | 단편영화 |
이창동: 아이러니의 예술 | 전도연 | 다큐멘터리 영화 |
|
비상선언 | 김숙희 | 주연 | |
2023년 | 길복순 | 길복순 |
주연
|
TBA | 리볼버 | 주연 |
전도연 드라마 출연작품
연도 | 제목 | 배역 | 활동 |
1992년 | TV 손자병법 | 공지선 | 조연 |
1992년~1993년 | 우리들의 천국 | 이진우 | |
1994년 | 종합병원 | 강순영 | |
사랑의 향기 | 혜진 | ||
1995년 | 사랑은 블루 | 나혜진 | 주연 |
단편 드라마게임 - 이별하는 여섯 단계 |
준영 | ||
젊은이의 양지 | 임종희 | ||
1996년 | 단편 드라마게임 - 우체국에 가면 잃어버린 사랑을 찾을 수 있을까? |
종희 | |
프로젝트 | 유현정 | ||
사랑할 때까지 | 서은주 | ||
간이역 | 최계순 | ||
1997년 | 별은 내 가슴에 | 양순애 | 조연 |
달팽이 | 양선자 | 주연 | |
1998년 | 단편 베스트극장 - 간직한 것은 잊혀지지 않는다 |
세진 | |
2002년~2003년 | 별을 쏘다 | 한소라 | |
2005년 | 프라하의 연인 | 윤재희 | |
2008년 | 온에어 | 전도연 | 2화 카메오 |
2016년 | 굿 와이프 | 김혜경 | 주연 |
2021년 | 인간실격 | 이부정 | |
2023년 | 일타 스캔들 | 남행선 |
'TV 정보 > 스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미 가수 별세 나이 프로필 아들 가족 남편 (1) | 2023.04.05 |
---|---|
풍자 남자일때 성별 트젠 성전환 군대 나이 (0) | 2023.04.04 |
더글로리 최혜영 배역 차주영 프로필 (0) | 2023.03.16 |
차주영 가슴 노출 혜정 대역 이도연 더 글로리 (0) | 2023.03.15 |
황영웅 불타는 트롯맨 프로필 가정사 문신 상해죄 논 (0) | 2023.03.09 |
댓글